개학까지 얼마 안 남은 학부모님들과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아이들은 새롭게 시작하는 학교생활과 걱정을 안고 있을 것입니다. 모든 것이 새로운 환경에서 아이들에게는 긴장과 설렘을 가지고 시작되는 사회의 첫발이고 부모님 또한 아이의 첫 성장을 지켜보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또한 학습뿐만 아니라 친구와의 관계, 선생님과의 관계를 통해 사회성을 키우며 자라는 시기입니다. 그렇다면 자녀들의 초등학교 입학 전에는 어떤 것을 집에서 준비하면 좋을지 실질 적인 팁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스스로 할 수 있는 습관만들기
집에서는 부모님의 지도아래 아이가 못하면 부모가 도움을 주면서 생활을 하지만 학교에 가는 순간 모든 것을 부모님이 도와줄 수 없기 때문에 미리 연습을 해봐야 합니다. 먼저 스스로 가방을 정리하는 습관을 가져보는 것입니다. 아이들은 학교에 무엇을 들고가야 하는지 아직은 정확하게는 모릅니다. 가방은 너무 크지 않은 것을 고르시고 아이가 메기 편한것으로 골라주시는게 좋습니다. 첫날은 부모님과 함께 해볼 수 있지만 아이가 자기 가방에 적응하고 물건의 이름, 이걸 왜 들고 가야하는지 알 수 있도록 설명을 충분히 해주시고 스스로 가방정리할 수 있게 만들어줘야 합니다. 아이가 만약 놓치는 부분이 있다면 자기 스스로 나중에는 이걸 놓치지 말아야지 하는 습관도 생기기 때문입니다. 아직은 서툴겠지만 부모님의 지나친 간섭보다는 아이가 스스로 할 수 있게 도와주셔야 합니다. 또한 스스로 옷 입고 벗는 것과 신발 신는 것, 식사예절하는 습관을 다시 한번 알려주셔야 합니다. 물론 유치원에서 미리 연습을 충분히 했다 하더라도 낯선 공간에서는 아이들이 긴장할 수도 있기 때문에 집에서도 한 번씩 연습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2) 규칙적인 생활과 수업시간의 규칙
초등학교 입학은 언제나 정확한 시간에 등교해야 하고 수업하고 점심 먹고 하교하는 시간까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아이가 이 규칙적인 생활을 하도록 같이 도와주셔야 합니다. 아침에는 항상 일정한 시간에 일어나는 연습을 하고 식사시간을 정해서 그 시간에 먹고 쉬는 시간에 화장실 갈 수 있도록 연습해야 합니다. 그리고 수업시간 안에서도 일어날 수 있는 행동들도 중요한데 선생님의 말을 끊는 행동이나 중간에 일어나서 돌아다니지 않아야 한다고 부모님께서 지도해 주시면 좋고 또한 선생님의 지시 없이는 혼자서 행동하는 것과 궁금한 것이 있으면 다른 사람에게 방해되지 않게 손을 들고 질문하는 연습 또한 중요합니다. 생각보다 아이들은 자신들의 행동이 잘못된건지 잘한 건지에 대해 모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아이들이 생각보다 많이 하는 실수는 화장실입니다. 쉬는 시간에 만약에 못갔다면 아이는 분명이 쉬는시간까지 기다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전에 너무 급하다면 그냥 나가는 것보다 손드는 연습을 통해 아이가 실수 하지 않도록 어떻게 대처해야하는 지 알려주시면 좋고 또한 뒷처리 연습까지 꼭 알려주세요. 또한 학교에서 친구들이랑 의견차이가 있을때 싸우는게 아니라 자기의견도 확실하게 말할 수 있는 연습또한 같이 집에서 해주시면 좋습니다.
3) 학습준비
학교수업은 40분 정도 집중해야합니다. 40분 생각보다 짧아보이지만 40분 앉아있는거 아이들에게는 힘든 과정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40분동안 집중력기르는 연습을 해보는 것이 중요한데, 그림그리거나, 부모님과 책읽기 활동하고 이야기하는 과정 등을 통해 적어도 엉덩이 들썩하는 것보다 아이가 40분정도 앉아있고 나서 충분하게 칭찬을 해주시면 아이자존감 또한 상승되니 같이 연습해 주시길 바랍니다. 요즘은 입학 전에 대부분의 아이들이 한글을 익히고 입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완벽할 필요는 없지만 적어도 기본적인 글자는 읽고 쓸 수 있게는 도와주시면 좋습니다. 자음과 모음, 자기 이름 쓰기 통해 글자와 친숙하게 공부한 뒤 입학하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 그리고 아이가 연필 잡는 연습이 중요합니다. 연필 잡기를 통해 손과 팔에 힘이 생기며 공부하는 자세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선긋기나 도형 그리는 연습 또한 도움이 많이 됩니다. 그리고 숫자공부도 수업을 하는데 이해가 되니 1부터 10까지 세기, 생활 속에서 할 수 있는 시계 보기나 장난감 개수 세기 정도를 통해 숫자놀이를 충분하게 부모님과 해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4) 교우관계, 사회성, 감정표현 배우기
학교에서는 정말 많은 사람들은 만나게 됩니다. 또한 친구들 , 선생님, 자기보다 학년이 높은 선배들, 학교에서 일하시는 분들 정말 다양한 사람을 만나게 되는 데 이때 가장 중요한 건 인사입니다. 가장 기본인 인사를 통해 아이가 바르게 자라도록 도와주셔야 합니다. 그리고 친구들과 어울리면서 양보하는 법이나 대화하는 법을 통해 사회성을 길러야 합니다. 그리고 다양한 감정을 통해 아이가 자신이 속상할 때 부모님이나 선생님께 이야기할 수 있는 방법, 친구들에게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 또한 화가 났을 때는 어떻게 자신을 다스려야 하는지까지 부모님께서 알려주시면 좋습니다.
5) 부모님께서 해주면 좋은 것
입항을 앞둔 아이들은 생각보다 많은 긴장을 하게 됩니다. 학교 가면 재미있을 것이다라는 긍정적인 말과 항상 하교 후에 아이에게 무엇이 오늘 가장 재미있었는지 물어보면서 공부보다는 아이의 감정을 알아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처음이라 낯선 공간일 텐데 아이가 힘들어할 경우 충분히 아이의 말을 들어주시고 감정을 지지해 주세요. 또한 부모님도 학교생활에 관심을 가지면서 오늘의 숙제나 알림을 확인해 주면서 아이와 같이 이야기 나누면서 적응상태를 파악해 주셔야 아이도 안정감을 느끼고 학교생활에 더욱 흥미를 가질 것입니다.
마무리
초등학교 입학은 자녀뿐만 아니라 부모님 또한 인생의 첫 전환점입니다. 아이의 인생의 첫 사회생활인 학교, 생활습관부터 학습, 감정까지 다양한 부분을 부모님과 함께 준비하면서 아이가 자신감 있게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