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의 역할과 양육방식과 태도에 타라 아이들은 성격과 행동이 달라집니다. 요즘은 금쪽이라는 표현이 유행하면서 문제 행동을 일으키는 아이들을 지칭하는 단어로 쓰이곤 하는데 항상 보면 아이가 스스로 문제를 일으키는 게 아닌 부모의 양육방식으로 인해 성장을 결정하는 경우를 많이 보게 됩니다. 환경적으로 좋지 않은데 아이에게 문제다라고 하기에는 어른들의 태도와 양육이 정말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아이가 정서적으로 환경적으로 건강하고 사회성 있는 아이를 자라기 위해서 어른들은 어떤 노력을 해야 할지 생각을 해봐야 합니다.
아이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기
부모의 감정으로 인해 간혹 아이의 감정을 무시하거나 지나치게 통제하는 경우도 많이 생깁니다. 그러다 보면 아이는 자신의 감정을 제대로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지 못하고 결국 어긋나는 경우를 많이 보게 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공감의 말 먼저 건네보는 것입니다. 먼저 그 아아의 마음을 읽어보는 연습을 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너가 너무 속상했겠다.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었네 라는 말로 공감을 먼저 해주는 것도 좋습니다.
2. 감정보다 행동을 조절하는 법 가르치는 것입니다. 예로 너가 화가 이렇게 날 수는 있어, 하지만 소리를 지르는 것 대신 말로 표현해 보자.라는 식으로 감정을 다 표출하는 것보다 말로 표현해보게 하는 것도 좋습니다.
3. 아이의 감정을 부정하지 않는 것입니다. 간혹 아이에게 너 이거 별것도 아닌데 왜 그러니하면서 아이의 감정을 무시하는 경우도 많고, 너는 나이가 이렇게 들었는데 왜 이렇게 우니? 하는 식의 말로 아이의 감정을 부정하는 경우가 많은데 가능하면 지금 기분이 좋지 않구나, 무슨 일이 , 어떤 일이 있었는지 말해 줄 수 있니? 이렇게 공감하면서 말해주다 보면 아이들은 자신의 감정을 이해받고 정서적으로 많이 안정되고 문제행동이 생각보다 많이 줄어듭니다.
아이들은 감정을 이해받을 때 비로소 정서적으로 안정되며, 문제 행동이 줄어듭니다.
일관된 규칙과 훈육 방식 유지하기
간혹 부모관계에서 아니면 조부모님과의 사이에서 일관되지 않은 규칙과 훈육방법이 아이에게 많은 혼란을 주게 되고 좋지 않은 결과를 많이 보게 됩니다. 가능하면 주양육자가 양육을 하는게 좋고 그렇지 않은 가족은 지켜보고나 주양육자가 하는 방식을 맞춰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족 간의 규칙을 설정하는 것도 좋습니다.
1. 가족회의를 통해 가족간의 규칙을 정하면 좋습니다. 몇 시 이후에는 핸드폰이나 티브이 시청 금지, 주말에는 다 같이 9시까지는 가능하다. 이런 식으로 가장 많이 다투게 되는 주제를 가지고 가족 간의 규칙을 정하면 좋습니다.
2. 일관성 유지하는 것으로 이것도 아이와 약속을 통해 지켜가는 것입니다. 게임시간과 핸드폰사용시간이 가장 많은 데 게임시간이 30분약속이면 딱 자기 스스로 끌 수 있게 하고 몇 분 더 해달라고 해도 허용하면 안 됩니다.
3.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가 먼저 모범 보이는 것입니다. 부모님도 늦은 밤에는 핸드폰사용을 줄이고 가족과 대화하는 시간을 늘려 먼저 모범을 보이는 것입니다. 규칙을 정하는 것은 가족 간의 약속입니다. 아이가 이해할 수 있도록 충분히 대화하고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며 명령이 아닌 서로가 규칙을 정하고 이렇게 했을 때 장점이 있을 거야 하면서 설득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긍정적인 훈육
어른도 크고 작은 실수를 많이 하는 데 아이는 더더욱 많습니다. 그 실수가 한 번이든 백번이든 비난이나 처벌보다는 긍정적인 훈육이 필요합니다. 자존감이 낮은 아이일수록 문제 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긍정적인 훈육을 하면 좋을 까요? 먼저 잘한 점을 칭찬하는 것입니다. 예로 장난감을 스스로 치웠구나 정말 기특하구나. 다음 행동을 수정할 기회를 주는 것입니다. 부정적인 꼬리푯말 금지입니다. 너는 왜 이렇게 장난감을 막 가지고 노니? 왜 이렇게 말썽이니?라는 말보다는 이렇게 하면 더 좋을 거 같은데 한번 해보자.라는 행동을 스스로 수정할 수 있게 끔 말할 기회를 주는 것입니다. 다음 결과보다는 노력을 칭찬해 주면 더더욱 좋습니다. 시험성적이 중요한 게 아니야. 네가 지금 이렇게 열심히 노력한 과정이 정말 중요해. 이렇게 말해주는 것이 아이의 자존감을 건드리지 않고 자존감을 올려주는 긍정적인 말입니다. 이렇게 하다 보면 자기 스스로가 부모에게 인정받고 싶어 하게 되면 스스로 올바른 행동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부모가 감정을 조절하자
아이를 키우다 보면 하루에도 열 번 이상을 감정조절이 힘들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부모는 성인이기에 자기 스스로 컨트롤할 수 있어야 합니다. 부모의 감정 조절 방식은 아이에게 그대로 영향을 미치기에 부모가 화를 잘 내고 감정을 조절하지 못한다면 아이도 똑같이 따라 하게 되니 항상 조심해야 합니다.
1. 화가 나면 한 박자 쉬어가는 것입니다. 잠시 부모가 마음을 가라앉히고 이야기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2. 아이 앞에서는 부부싸움 하지 말기입니다. 부모의 갈등은 아이의 정서의 크나큰 충격이고 불안입니다.
3. 부모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말해보는 것입니다. 부모도 화가 나는 순간이 있지만 차분하게 말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부모 스스로가 감정을 조절하는 모습을 보여준다면 아이도 자연스럽게 배우고 따라 하게 될 것입니다.
충분한 애정 표현과 스킨십하기
아이에게 애정을 충분히 표현하는 것, 신체적 접촉, 따뜻한 말 한마디는 아이의 정서 안정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하루에 한 번 이상은 꼭 진심을 담아 안아주고 꼭 진심 어린 말을 한 번씩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아이와 함께 하는 시간을 늘려서 아이가 부모에게 큰 사랑을 받고 있다는 느낌을 주는 것입니다. 아이의 문제행동은 하루아침에 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부모가 어떻게 교육하는지 어떻게 애정을 주는지에 따라 성격과 행동이 달라집니다. 아이의 문제는 결국의 부모의 문제이기도 합니다. 아이가 정서적으로 건강하게 자라게 하기 위해서는 부모의 노력이 정말 중요합니다. 부모도 완벽할 필요는 없지만 적어도 작은 노력을 하다 보면 건강한 양육환경을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